건강

좋은 소금과 나쁜소금 구별법

任演(임연) 2011. 5. 21. 17:13

 

좋은 소금과 나쁜소금 구별법

 

소금은 만드는 제조 방법에 따라서도 종류가 다르고,

2차 가공의 형태에서도 그 이름들이 다양합니다.

 

1차 제조 방법으로는 천일염, 암염, 정제염, 재제염, 가공염 등이 있는데

1차소금의 형태로도 유통이 되지만

 

천일염 등의 경우에는 2차 제조를 통해서도 그 부르는 이름들이 다양하게

나와 있습니다.

 

천일염은 바닷물은 태양과 바람으로 증발시켜 얻는 방식이고,

외국에서도 천일염 방식으로 많이 생산이 되지만,

소금의 염도는 같지 않다고 합니다. 

 

외국산은 염도가 90% 이상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생산하는 천일염

농도는 80% 정도라는 것. 소금에 포함된 미네랄 성분이 국내산에는 많지만,

외국산에는 부족하는 것.

 

사람들이 천일염을 좋다고 말하는 것도 한편으로 풍부한 미네랄 성분 때문입니다.

제품이 '국내산 천일염'인지를 따져야 한다는 말입니다. 

       

       

       

암염은 말 그대로 바위 형태로 굳어진 소금을 분쇄하여 가공한 것이고

국내에선 유통이 거의 안되는 제품임.

 

정제염은 바닷물을 천일염처럼 자연 건조가 아닌 전기분해로 얻는 방식입니다.

염분 농도가 99% 이상으로 몸에 좋은 각종 미네랄 같은

다른 성분이 거의 기대할 수 없는 소금이죠.

 

재제염(꽃소금)은 천일염에 외국 수입염을 20%와 80%로 섞어서 용해와 탈수를

거쳐서 소금 결정을 다시 만든 소금이라고 할 수 있는데, 

 

한편으로 천일염의 제조방식이 몸에는 좋지만 각종 불순물 등으로 비위생적

이라고 생각해서 만든 소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천일염으로 이미 완성품인 소금을 물에 녹여 정화시켜 만든 형태이고

그 천일염이 국내산의 염도보다

 

외국의 천일염으로 만든다고 하니, 꽃소금에 사용되는 소금은 당연 미네랄이 적은 

수입소금으로 만드는 셈이죠.

 

가공염은 소금을 다양한 형태로 번형시킨 것이며, 대나무 등으로 굽거나,

소금에 식품첨가물(조미료) 등을 가하여 가공한 소금을 말합니다.

 

구운 소금이나 죽염도 천일염을 이용하여 열을 가하거나, 대나무를 이용해 그외의

성분을 포함시킨 것이며,

 

맛소금의 형태도 결국 조미료와 정제염을 1:9로 섞어 짠맛 이외에도 감칠맛이

나도록 가공한 소금입니다.

 

특수염도 있다고 하더군요. 이른바 돌이나 동물(짐승이나 물고기), 풀,

곤충에서도 소금을 얻기도 했다는...

 

 

     

    [도표 : 대한염업조합]

     

    결론은 소금의 좋고 나쁨이 생산하는 방식으로 얻을 수 있는

    염분 이외의 무기질이나 미네랄 같은

    성분이 얼마나 많이 들어 있느냐가 선택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소금에 관한 20가지 상식 


     1. 달걀을 삶을 때 삶는 물에 소금을 조금 넣으면

    달걀이 터지지 않는다.

     

    2. 옥수수 등을 삶을 때 삶는 물에 설탕을 넣고

    소금을 조금 넣으면  단맛이 강해진다.

     

    3. 커피를 마실 때 소금을 조금 넣으면 
        향도 좋아지고 정력증진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4. 가지를 볶을 때 진한 소금물에 담갔다가 볶으면 
        가지가 기름을 많이 먹지 않는다.

     

    5. 보리차에 소금을 조금 넣으면 향기가 좋아진다.


    6. 옷에 피가 묻었을 때 소금물에 담가 핏물이 배어 나온 후 비벼 빤다.

     

    7. 감물이 옷에 묻었을 때 소금물에 담갔다가 빤 후 
        식초 탄 물에 빨아 세탁하면 감물이 빠진다.

     

    8. 바닷조개는 소금물에 담가 두면 흙이나 모래를 토해 낸다.

     

    9. 추운 겨울날 빨래를 할 때 헹굼 물에 소금을 넣어 헹구어내면 
        밖에 널어도 얼지 않는다.

     

    10. 토마토나 삶은 감자 등은 소금에 찍어 먹으면 달고 맛이 좋다

     

    11. 기름 묻은 프라이팬이 뜨거울 때

    소금을 뿌려 휴지로 닦아내면  깨끗이 닦인다.

     

    12. 시금치 등 야채를 삶을 때

    소금을 조금 넣으면 야채의 색갈이  선명해 진다.

     

    13. 개미가 방에 많으면 장롱 밑이나 구석에 소금을 뿌려 놓으면

         개미가 없어진다.

     

    14. 버섯요리 할 때는 끓는 물에 소금을 넣고 버섯을 튀겨 내면 
         색깔이 살아나고 독성이 없어진다.

     

    15. 두릅을 요리할 때는 두릅의 밑 부분을 깎아 내고 바닥을 십자로

          칼집 낸 후 소금을 넣으면 독성이 없어진다.


    16. 아기를 목욕시킬 때 목욕물에 소금을 넣으면
          피부가 매끈해지고 염증이 생기지 않는다.

     

    17. 클렌징을 할 때 잘 지워지지 않으면 크림에 분말소금을 조금 넣고
          딥 클렌징을 하면 화장이 깨끗이 지워진다.

     

    18. 담수어처럼 흐트러지기 쉬운 생선을 구울 때
          소금물에 30분정도 담갔다가 구우면 잘 흐트러지지 않는다.

     

    19. 껍질을 벗긴 과일을 소금물에 담갔다가 꺼내면

    색이 변하지 않는다.

     

    20. 목감기로 목이 부어 따가울 때는 따뜻한 소금물양치가 
         특효(1-2시간 간격으로 자주  해주도록 한다).
         통증을 가라앉히는 데는 꿀을 한 스푼 삼키거나 
         파인애플주스를 자주마시면 도움이 된다.

     

     

     

    20196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 실 의 효능과 사용법|   (0) 2011.06.09
    숨어 있는 뇌경색을 찾아 내는 방법  (0) 2011.05.21
    자 가 진 단 법  (0) 2011.05.21
    호두로 4주만에 건강한 혈관 만들자   (0) 2011.05.10
    무릎 연골 강화법  (0) 2011.03.31